농축산식품국
HOME > 부서별안내 > 농축산식품국 > 축산정책과 > 직원안내소통을 통한 창의 도정을 이루겠습니다.
본문 시작
- 축산정책과
- 활기넘치고 매력적인 고장! 생명의 땅, 으뜸 전남!
축산정책, 동물복지, 축산경영, 축산자원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팩스 : 061-286-4787)
부서명 | 직위 | 이름 | 담당업무 | 전화번호 |
---|---|---|---|---|
축산정책과 | 축산정책과장 | 박도환 | 축산정책업무 전반 | 061-286-6510 |
축산정책과 | 축산정책팀장 | 김태원 | 축산정책팀 업무 전반 | 061-286-6520 |
축산정책과 | 주무관 | 임경순 | 축산정책과 소관 업무보고 등, 의회 업무, 행감, 감사 업무 추진, 축산분야 신규시책 수립 및 시행, 축산분야 국고건의, 축산시책 종합평가 등 | 061-286-6521 |
축산정책과 | 주무관 | 오재철 | 녹색축산육성기금 조례 및 운용, 축사시설현대화 사업, 한우산업 육성 및 한우개량 추진, 한우 송아지브랜드 육성사업 추진, 한우 품질 고급화 및 생산비 절감사업, 축산기자재 종합 물류센터 지원 등 | 061-286-6524 |
축산정책과 | 주무관 | 강대진 | 과 예산 총괄, 축산분야 균특회계 추진, 축산재해 대책 수립 및 사후관리, 가축 폭염 피해 예방 대책 추진, 축사화재 피해 대책수립 및 지원업무 추진, 가축재해보험 가입비 지원, 가축사육환경 실태조사 등 | 061-286-6522 |
축산정책과 | 주무관 | 박애연 | 축산 ICT 융복합 지원사업, 축산분야 FTA 대응 및 수입개방대책 수립, 축산분야 FTA 지원, 송아지 생산 안정제, 가축개량 지원사업, 성과관리평가(BSC)관리, 과서무 업무 등 | 061-286-6525 |
축산정책과 | 주무관 | 최유림 | 과 서무 업무 지원, 한우 등록 업무 추진, 일상경비 지출 및 전산관리, 가축인공수정사 면허 관리, 가축통계 조사 및 축산통계 관리 등 | 061-286-6523 |
축산정책과 | 동물복지팀장 | 박진영 | 동물복지팀 업무 전반 | 061-286-6530 |
축산정책과 | 주무관 | 김숙현 | 반려동물 육성 종합계획 수립 추진, 동물보호법 운영, 진도개 보호 육성, 유기동물보호센터 설치 및 운영비 지원 등 | 061-286-6531 |
축산정책과 | 주무관 | 송정아 | 동물복지형 녹색축산 종합계획, 유기·무항생제축산물 인증 및 사후관리, 동물복지형 시범농장 사업 추진, 낙농사업 육성 및 가격안정 추진 등 | 061-286-6532 |
축산정책과 | 축산경영팀장 | 이두규 | 축산경영팀 업무 전반 | 061-286-6540 |
축산정책과 | 주무관 | 장용연 | 국립축산기관 이전 지원, 조사료 생산기반 확충사업, 조사료 유통센터 육성 및 관리, 아이엠팜사료 관리, 꿀벌& #40;한봉, 양봉& #41; 산업 육성 등 | 061-286-6541 |
축산정책과 | 주무관 | 윤재헌 | 스마트 축산단지 조성사업 추진, 축산물 브랜드 육성 및 관리, 가축경진대회, 축산물 수출촉진 및 실적관리, 축산물 가공·유통·판매시설 육성, 축산계열화 사업 추진 및 사후관리, 축산물 가격 안정대책 및 소비촉진 등 | 061-286-6542 |
축산정책과 | 주무관 | 최아름 | 축산분야 조직화·기업화 등 유통회사 육성, 사료제조업 등록 및 사료검사, 사료가공시설 지원 및 사후관리, 축산물 이력제 추진, 축산 자조금 조성 및 육성 지도, 축산물직거래 판매장 지원 등 | 061-286-6543 |
축산정책과 | 축산자원팀장 | 김성진 | 축산자원팀 업무 전반 | 061-286-6550 |
축산정책과 | 주무관 | 정상묵 | 양돈산업 육성, 말산업 육성 지원, 흑염소산업 육성 및 가격안정 추진, 축산업 허가 및 등록제 추진, 가축 사육밀도 개선, 깨끗한 축산농장 지정 추진 등 | 061-286-6551 |
축산정책과 | 주무관 | 고영민 | 축산악취 개선사업 추진, 축산악취 저감제 지원, 가축분뇨 이용촉진사업 추진, 가축분뇨 공동자원화시설 지원 및 관리, 에코프로바이오틱스 이용 활성화 사업추진 등 | 061-286-6552 |
축산정책과 | 주무관 | 오성준 | 축산농장 악취저감시설 지원, 퇴비 부숙촉진 및 부숙용 톱밥지원, 가금 산업육성 및 증체율 향상 지원, 곤충산업육성 및 사료첨가제 지원, 사슴 등 기타가축 육성, 친환경 해충퇴치 장비 지원, 한우 자동목걸림 장치 지원, 고온스트레스완화제 지원, 축산농장 퇴비부숙도 관리 등 | 061-286-6553 |
- 콘텐츠 관리부서 축산정책과 (061-286-6525)
Q.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현재 페이지의 만족도를 평가해 주십시오. 의견을 수렴하여 빠른 시일 내에 반영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