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 메뉴 보기

보도자료

HOME > 도정소식 > 보도자료

소통을 통한 창의 도정을 이루겠습니다.

본문 시작

올해 ‘전남도 농업인대상’ 수상자 확정

작성일 2007-10-17
올해 ‘전남도 농업인대상’ 수상자 확정【농업정책과】286-6221

-고소득쌀 생산, 원예특용작물, 축산 등 6개 분야-


올해 전남도 농업인대상 수상자가 확정됐다.

전남도는 시군에서 신청을 받아 도에 추천한 후보자를 대상으로 현지심사 등을 거쳐 최근 도 농정심의회를 개최하고 고소득쌀 생산, 원예특용작물, 축산 등 6개 분야의 ‘전남도 농업인대상’ 수상자 6명을 확정, 17일 발표했다.

이들 수상자들은 각 분야에서 굳은 의지와 창의적인 노력으로 농업이 처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소득증대와 농업발전에 기여한 농업인들로 평가받았다.

우선, 고소득쌀 생산 분야에서는 해남군 박광은(43세) 씨가 선정됐다.

박 씨는 벼 18.3ha를 오리농법 등 친환경농법 이용과 생볏짚 100% 환원 및 토양개량제 시용으로 무농약 6ha, 저농약 12.3ha 등 100% 친환경 쌀 인증을 취득했다.

또, 친환경 쌀 실천농가를 중심으로 쌀전농회를 설립(46호 394ha)해 친환경농법 기술지도·교육 등으로 고품질 쌀을 생산, 농가소득증대에 기여하는 등 연간 1억3천2백만원의 조수익을 올리고 있다.

원예특용작물분야에서는 담양군 김상식(43세) 씨가 뽑혔다.

김 씨는 친환경농업에 관심이 있는 농업인들을 위주로 두리영농조합법인을 조직해 5ha 규모의 자동화 하우스 시설을 설치·운영하고 있다.

특히, 친환경 기능성 쌈채소 생산단지를 조성해 자체 브랜드(3℃ 숨쉬는 맑은채소)의 개발·출하로 연간 12억6천만원의 조수익을 얻어 농촌에서 새로운 희망을 찾고 있다.

유통가공분야에서는 나주배, 칡, 양파, 복분자 약용작물 등 도내 농산물을 이용해 기능성 음료를 생산하는 나주이천식품영농조합법인(대표 서양현, 60세)이 선정됐다.

이 조합은 ‘배를 이용한 장어대보탕 제조방법’특허를 획득하고, ISO9001 인증·HACCP품질경영체 인증을 획득해 노동부로부터 클린사업장으로 지정받았다.

또, 중소기업청으로부터 벤처기업인증 획득, 수출유망중소기업으로 선정되는 등 국제수준의 시설현대화를 통한 경쟁력 강화와 농수산 홈쇼핑, 인터넷, 서울국제식품박람회 참가 등 적극적인 마케팅으로 연 2억8천4백만원의 매출을 올리고 있으며, 특히 연간 4천여명의 고용(인건비 1억6천만원)으로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축산분야는 지난 75년 돼지 300두를 시작으로 현재 2만5천두를 사육해 연간 54억원의 고소득을 올리고 있는 무안군 박천재(49세) 씨가 뽑혔다.

박 씨는 돼지 소모성 질병의 차단을 위해 기존 돈사를 과감히 폐쇄하고 100억원을 투입해 최신식 돈사(6동/1만493㎡)를 신축했고, 적기예방주사, 돈사 소독 등 쾌적한 사육환경 조성과 경영상태 등을 컴퓨터를 활용해 매일 기록하는 등 선진경영 체제를 갖추고 있다.

또, 가축분뇨자원화를 위해 축산분뇨 유기질비료공장을 설치·운영(4동/4849㎡)하고 있다.

임업분야에서는 곡성군 신종연(53세) 씨가 선정됐다.

신 씨는 임야 24ha 경영을 통해 연간 표고버섯 10톤, 두릅 1톤을 생산, 연간 6천5백만원의 소득을 올리면서 표고, 두릅 뿐만 아니라 산양삼, 녹차, 오가피 등 새로운 산림소득 작목을 육성해 오고 있다.

특히, 이를 통해 산림복합경영에 모범을 보이고 있고 지속적인 소득창출기반을 마련해 나가고 있다.

농산물수출분야에서는 고흥군 한성푸드영농조합법인(대표 김종남, 47세)이 선정됐다.

이 조합은 고흥유자 연간 생산량 6500톤 중 2500톤 (39%)을 유자차로 가공해 일본, 대만 등에 수출해 1100만불의 외화를 획득, 농가소득을 증대시키고 연 2만명의 농촌 유휴인력 고용으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유자소비의 다각화를 위해 유자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유자쨈 등 다양한 유자가공 제품개발로 안정적인 수익원 발굴에도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한편, 이날 선정된 수상자들에게는 오는 24일 ‘제6회 대한민국 농업박람회’ 개막식 행사시에 도지사 상패가 수여된다.<첨부=수상자 인적사항 및 공적 내용>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Q.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현재 페이지의 만족도를 평가해 주십시오. 의견을 수렴하여 빠른 시일 내에 반영하겠습니다.

의견등록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