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니페스토란(Manifesto) 란?

매니페스토실천본부 바로가기

과거의 잘못된 행적을 솔직히 반성하며 새로운 미래를 위한 구체적 약속을 공개적인 방식으로 책임성을 담아 문서로서 선언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매니페스토운동은 더 이상 거짓말하지

말라는 경고인 동시에 아래로부터의 따뜻한 약속과 용기 있는 실천은 적극적으로 도와주는 성숙한 민주시민운동입니다.

매니페스토(Manifesto)의 어원은 라틴어의 마니페스투스(manifestus)입니다. 당시에는 '증거' 또는 '증거물'이란 의미로 쓰였습니다. 이 단어는 이탈리아어로 들어가 마니페스또(manifesto)가 되었는데, 그때는 '과거 행적을 설명하고, 미래 행동의 동기를 밝히는 공적인 선언'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같은 의미로 1644년 영어권 국가에 소개되었고, 이 단어를 오늘날 우리사회가 쓰고 있는 것입니다.

선거매니페스토(elect manifesto)는 출마자가 과거에 당을 여러 번 옮겨 다닌 '철새' 정치인이었다면 그 불가피한 이유를 설명하고 앞으로는 그렇게 하지 않겠다고 공약한다든가, 과거에 어떤 비리 사건에 연루된 적이 있으면 그 경위를 밝히고 앞으로는 그런 일은 없을 것이라는 고백과 함께 가치와 철학, 구체적인 정책대안을 매니페스토 도서나 매니페스토 공약서에 담아서 유권자에게 공개적으로 약속하고 실천하는 것입니다.

대한민국
  • 2006년 5월 지방선거를 계기로 후보자들이 내세운 공약이 구체성을 띠고 있으며 실현 가능성 여부를 평가하자는 매니페스토운동이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전개
  •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 등 관련단체에서 펼치고 있는 한국형 매니페스토운동은 중립적인 입장에서서 출마자의 과거 행적을 살펴보고, 미래계획을 검증하면서 유권자의 현명한 판단을 유도
대한민국
영국
  • 1834년 영국 보수당 당수인 로버트 필이 "유권자들의 환심을 사기 위한 공약은 결국 실패 하기 마련"이라면서 구체화된 책임 공약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시작
  • 과거의 노선을 공식적으로 반성하며 매니페스토 10대 정책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1997년 영국노동당의 토니 블레어가 집권에 성공하면서 활성화
영국
일본
  • 1998년 지방선거에서 처음으로 매니페스토가 선을 보였으나 선거법 위반으로 간주되었으며, 2003년 공직선거법 개정으로 선거기간 중 매니페스토 배포가 가능
  • 후보자와 유권자가 '부탁'이 아닌 '약속'과 '계약'으로 맺어지는 새로운 선거 문화 실험이 한창이며, 지난 2009년 총선에서는 매니페스토를 통해 평화적 정권교체를 이루는 기적이 발생
일본
미국
  • 상호 계약을 합리적 토론을 통해 문서화하고, 이행하지 않을 시에는 사회적 질타를 받는 신용을 중요시 하는 사회이므로 매니페스토 운동에 가장 익숙한 나라
  • 당원들이 참여하는 지방의 정당대회(코커스)에서 인물만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각종 현안을 풀어가는 방향과 당의 정책들을 당원들의 치열한 토론을 통해 결정
미국
  • 콘텐츠 관리부서 정책기획관 (061-286-2162)
  • 최근업데이트2018-07-01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