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8기 공 약 & 매 니 페 스 토

세계로 웅비하는 대도약! 전남 행복시대, 도민과 함께 만들어가겠습니다.

"해상풍력 성공은 주민 수용성에 달렸다"

공약관리번호 공약 1-2-2
공약 이름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링크 http://www.namdo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587616
언론사 남도일보
보도일자 2020-10-21
전남도는 정부에서 야심차게 추진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를 새로운 미래먹거리로 판단하고, 국가 균형발전 정책과 연계·결합한 대응체계를 강화하는데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김영록 지사도 최근 청와대에서 가진 제2차 ‘한국판 뉴딜 전략회의’에서 해상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를 부각시키며 지역사업 발굴을 위한 본격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전남곳곳에서는 해상풍력·태양광발전 시설 등을 반대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어 ‘주민수용성’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13일 전남도청 브리핑룸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전남도가 추진하고 있는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을 통한 그린 뉴딜 전남형 상생일자리 계획’을 설명했다.

해상풍력 추진 상황과 관련 “국가기본계획, 전력수급기본계획, 항만기본계획에 반영을 추진하고 있고, 전남도와 한전, 발전회사 등 18개의 기관이 1차 컨소시엄을 구성했다”며 “신안군, 관련 수협, 어민들과 상생협약을 체결해 주민 수용성을 확보했고, 해상풍력 사업이 도민의 이익으로 공유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이날 언론과의 소통을 적극적으로 ‘한국판 뉴딜’의 가시적인 성과 창출을 위해 전남도 차원의 대응체계를 강화하고 있다는 의지를 피력했지만, 도민들은 여전히 의구심을 표출하고 있다.

실제 여수시 삼산면 광도 인근에 해상 풍력단지 건설 사업이 본격 추진되고 있지만, 어민들은 황금어장에 풍력발전 시설이 들어서면 어장이 황폐해지고 생존권이 무너진다며 반발하고 있는 상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광도 인근에 추진 중인 8Mw급 발전기 36기(288Mw) 규모의 해상 풍력발전사업을 허가했다.

산자부의 사업 허가 소식이 알려지자 여수지역 어민들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23개 어민단체는 산자부에 3차례나 공문을 보내 풍력발전 사업을 반대했지만, 허가가 나자 강력하게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이들은 “거문도와 광도는 황금어장으로 여수 선적 어선 800여척이 작업을 한다”며 “황금어장에서 조업을 하지 못하면 연간 1천억원 이상 손실이 예상된다”고 주장했다.

무안국제공항 인근에서도 대규모 태양광발전시설이 추가로 추진되면서 주민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태양광발전시설이 허가될 경우 무안공항 도로를 경계로 90여 만평이 넘는 부지에 태양광시설이 들어서게 된다.

태양광 설치반대 망운면 대책위원회는 이날 “무안공항 인근 태양광발전소 설치는 공항 활성화는 물론 인근 창포호수의 환경보호에도 역행한다”며 사업 취소를 촉구했다.

이들 업체가 신청한 태양광발전소는 219만2천991㎡ 부지에 발전용량 185㎿급 규모다. 대책위는 무안국제공항 인근에 대규모 태양광발전소가 추가될 경우 무안발전을 저해하고 환경파괴를 가져올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앞서 신안 일대의 해상풍력은 어민들과 한동안 마찰을 빚었지만, 다행히도 지자체·발전사·제조업체·지역주민 등 모든 주체가 상생 협력해 사업 추진에 탄력을 받게됐다. 전남도는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주민 수용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보고 협약체결을 추진했다.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