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

D

사이드 메뉴 보기

FTA협상 및 쌀 시장개방현황

HOME > 분야별 정보 > 농업ㆍ축산 > 농업통계 > FTA협상 및 쌀 시장개방현황

소통을 통한 창의 도정을 이루겠습니다.

본문 시작

FTA 협상동향(‘19년 12월 말)

협상 발효 : 16건, 56개국

  • 칠레, 싱가포르, EFTA*(4), ASEAN**(10), 인도, EU***(27), 페루, 미국, 터키, 호주, 캐나다, 중국, 뉴질랜드, 베트남, 콜롬비아, 중미****(5)
    * EFTA : 스위스,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리히탠슈타인
    ** ASEAN :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베트남, 미얀마, 인도네시아, 필리핀, 브루나이, 라오스, 캄보디아, 태국
    *** EU : 오스트리아, 벨기에, 영국, 체코, 키프로스, 덴마크, 에스토니아, 핀란드, 프랑스, 독일, 그리스, 헝가리, 아일랜드, 이탈이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룩샘부르크, 몰타, 네덜란드, 폴란드, 포르투칼,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스페인, 스웨덴, 불가리아, 루마니아, 크로아티아
    **** 중미(5) : 파나마, 코스타리카, 온두라스, 엘살바도르, 니카라과

타 결 : 4건, 17개국(영국, 이스라엘, 인도네시아, RCEP*(16))

* RCEP : 한국, 중국, 일본, 인도, 호주, 뉴질랜드, ASEAN / 인도는 서명 보류

협상중 : 6건, 11개국

  • 한·중·일, 에콰도르, MERCOSUR*(5), 필리핀, 러시아, 말레이시아

쌀 시장개방 관련 현황

UR 결과(’93) : 1995부터 2004까지 10년간 관세화 유예

  • MMA(최소시장접근) 물량 허용 → ’95) 51천톤(’88~’90 국내소비량 51만톤의 1%) → ’04) 205천톤(4%)

재협상 결과(’05) : 2014년까지 10년간 추가 연장 ⇒ 2015년부터 관세화

  • MMA 확대 : ’05) 226천톤(4.4%) → ’14) 409천톤(7.9%)
  • 밥쌀용 시판 허용 : ’05) MMA 물량의 10% → ’10년 이후 30%

연도별(’05~’14) MMA 쌀 배정물량

(단위 : 천톤)

연도별(’05~’14) MMA 쌀 배정물량
연도별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총물량 226 246 266 287 307 327 348 368 388 409 3,172
가공용 203 212 218 224 227 229 244 258 271 286 2,372
밥쌀용 23 34 48 63 80 98 104 110 117 123 800
밥쌀용 비 율 10% 14% 18% 22% 26% 30% 30% 30% 30% 30%

쌀 관세화 유예기간 종료(’14) 후 ’15. 1월부터 관세율 513%로 유지하되 TRQ물량(409천톤)은 매년 5% 저율 관세로 수입

  • 수입국별 쿼터량 : 중국 157천톤, 미국 132천톤, 베트남 55천톤, 태국 29천톤, 호주 16천톤
  • 밥쌀용 쌀 의무수입 규정은 없으나, WTO 규정위반 등을 감안 최소량(연 4만톤 내외) 수입

FTA 발효로 전남 농업에 미치는 영향(한국농촌경제연구원 용역 결과)

전남의 연평균 농업생산 감소액 : 2,069억원 예상

  • 축산 1,475억원(71%), 과수 447억원(22%), 곡물 75억원(4%), 채소류 56억원(3%), 특용작물 16억원

한·미와 한·EU FTA 체결에 따른 생산액 감소 전망

(단위 : 억원)

한·미와 한·EU FTA 체결에 따른 생산액 감소 전망
구 분 합 계 축 산 과 수 채소·특작 곡 물
한·미
FTA
전국 연평균 8,150 4,866 2,411 655 218
전국 연평균 1,136 730 231 131 44
한·EU
FTA
전국 연평균 1,448 1,342 32 63 11
전국 연평균 219 201 3 13 2

한·중 FTA로 인한 농업분야 총 피해액은 20년 누적 959억원으로, 기타결 FTA 중 가장 적은 수준임

  • 농업생산 감소액은 발효 이후 20년(‘16~’35년) 평균 48억원으로, 동기간 평균 농업 총생산액의 0.009%에 해당, 피해는 제한적
  • 콘텐츠 관리부서 농업정책과 (061-286-6222)
  • 최근업데이트2020-01-13

Q.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현재 페이지의 만족도를 평가해 주십시오. 의견을 수렴하여 빠른 시일 내에 반영하겠습니다.

의견등록

로딩중